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직장생활을 하시는 분들이 가장 기다리는 것이 월급입니다.


회사를 선택하는 기준으로 가장 먼저 확인하는 부분이기도 하는데요.


그리고 급여를 얘기할 경우 보통 세전, 세후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바로 세금을 제외한 금액이냐 포함된 금액이냐를 뜻하는 것입니다.


세금을 공제하고 나면 금액이 차이날 수 있어서 미리 계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급여 세금 계산 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급여 세금 계산 계산기 사용방법




1. 급여 세금 계산은 사람인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인터넷에 "사람인"을 입력 후 검색해 주세요.


그럼 하단에 "사람인" 홈페이지가 보입니다.


클릭해 주세요.



2. 그럼 사람인 홈페이지가 보입니다.


우측에 글자수세기, 학점변환, 어학점수변환, 사진크기조정이 보입니다.


아무거나 클릭해 주세요.



3. 글자수세기를 클릭했습니다.






그럼 우측에 "연봉계산기"가 보이는데요.


클릭해 주세요.



4. 그럼 연봉계산기 페이지가 나옵니다.


연봉, 월급을 선택 후 계산을 할 수 있으며 퇴직금 부양가족수 20세이하 자녀수에 따라서 세금 금액 차이가 있으니 정확하게 정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5. 저는 예를 들기 위해서 연봉, 퇴직금별도, 연봉3000만우너, 비과세액 10만원, 부양가족수 1명, 20세이하 자녀수 0명으로 계산하기를 해보았습니다.


그럴 경우 예상 실수령액의 경우 2,261,230원이 나옵니다.


간단하죠?






이상으로 급여 세금 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